business
아웃소싱
개념
기업에서 비 핵심 업무를 외부 아웃소싱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특정한 업무를 수행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가 아웃소싱 되면서 조직이 슬림해지고 인력의 관리비용이 최소화되면서 기업운영비용이 절감되며,
절감된 비용을 핵심 분야에 투자함으로써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킵니다.
특히 IMF위기를 맞아 기업들에서 추진되고 있는 구조조정과 관련하여
Outsourcing을 기업의 핵심역량(CoreCompetency) 강화의 수단으로 빠르게 확대, 성장하고 있습니다.
도급

비효율, 고비용 부문과 주변 업무를 외부전문기관에 아웃소싱하고 핵심역량에 내부의 경영자원을 집중함으로써 경쟁사의 차별성을 더욱 부각시켜 주력 업무의 전문성과 품질향상, 경영 체질의 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됩니다.
업무위탁

업무위탁은 위탁자가 업무나 사무의 처리를 위탁하고, 수탁자가 그 처리를 승낙하여 자기의 책임으로 수탁사무(업무)를 처리하되, 어느 정도의 자유재량으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자기의 책임O, 업무의 완성 X, 노무관리 O) 그러나, 위와 같은 구분에도 불구하고 현실의 장소가 도급인이나 업무위탁자의 사업장 내에 있는 경우에는 시설관리나 근로 장소에 관한 규율이나 물적 관리상의 지시에 따라야 합니다.
기대효과
핵심역량의 강화
•
핵심역량에 내부자원 집중을 통한 생산성 향상
•
단순반복적인 정형화된 업무의 아웃소싱을 통한 불필요한 자원 낭비방지
•
경쟁사와의 차별성 부각
•
주력 업무의 전문성,품질향상,경영체질의 강화
리스크 최소화
•
시장,경쟁환경,기술의 변화 등의 기업경영 영향력 최소화
•
아웃소싱을 통한 조직의 유연성 확보
신속성/정확성 및 혁신의 가속화
•
리엔지니어링 효과 -> 기존 프로세스 수정으로 기업,혁신,변신의 가속화 추진
•
외부의 전문인력활용 -> 내부인력의 불가능업무 수행 및 업무의 유연성 신속성 증가
조직의 슬림화 및 효율 최대화
•
조직의 슬림화를 통한 전문화 및 경쟁력 강화
•
전문 아웃소싱을 통한 전문인력을 활용하므로 적은 비용으로 업무추진 가능
•
전문성 높은 외부서비스 활용을 통한 경비 절감 효과, 서비스 향상